푸저우시 (장시성)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푸저우 시는 중화인민공화국 장시성 중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2개의 시할구와 9개의 현을 관할한다. 이 지역은 전국 시대에 초나라에 속했다가 진나라에 정복되었고, 이후 여러 행정 구역 개편을 거쳐 2000년 지급시로 승격되었다. 주요 산업으로는 식품, 방직, 식품 가공 등이 있으며, 아열대 기후를 보인다. 푸저우 시는 철도와 고속도로가 발달했으며, 왕안석, 증공, 탕현조 등 역사적 인물들의 고향으로도 알려져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푸저우시 (장시성) - 둥화 이공대학
둥화 이공대학은 1956년 산시성 타이구 지질 학교로 설립되어 우라늄 광석 탐사 기술자를 양성하는 것을 목표로, 현재는 장시성 정부 등과 함께 원자력 과학 및 지구 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종합대학으로 운영된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잉탄시
잉탄시는 장시성 동부에 위치한 지급시로, 1983년 상요 지구에서 승격되었으며 웨후 구, 위장 구, 구이시 시를 관할하고, 여러 철도 및 고속도로 노선이 지나가는 교통 요지이며 용호산 풍경구가 있는 관광지이다. - 장시성의 지급시 - 신위시
신위시는 1,700년 역사를 지닌 중국 장시성 중서부의 지급시로, 철강 산업과 간펑 리튬 본사가 있으며 위수구, 펀이현, 선녀호 풍경구, 가오신 기술 경제 개발구를 관할하고 대한민국 제천시와 자매 결연을 맺었다.
푸저우시 (장시성)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이름 | 푸저우시 (抚州市) |
다른 이름 | 푸차우 (Fuchow) |
종류 | 지급시 |
별칭 | (정보 없음) |
슬로건 | (정보 없음) |
위치 정보 | |
![]() | |
![]() | |
좌표 | 북위 27.949, 동경 116.358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장시성 |
중심지 | 린촨구 |
시장 | 후 지안페이 (胡剑飞) (대행) |
서기 | 판 샤오린 (范小林) |
면적 | |
총 면적 | 18,800 km² |
육지 면적 | 18,800 km² |
인구 | |
총 인구 (2010년) | 3,912,312명 |
경제 | |
GDP (2016년) | CN¥ 1105억 (미화 177억 달러) |
1인당 GDP (2016년) | CN¥ 27,735 (미화 4,453 달러) |
시간대 | |
시간대 | 중국 표준시 (UTC+8) |
식별 번호 | |
우편 번호 | 344000 |
지역 번호 | 0794 |
ISO 3166-2 | CN-JX-10 |
차량 번호판 접두사 | 간F (赣F) |
기타 | |
웹사이트 | 영문 웹사이트 |
2. 역사
전국 시대 이 지역은 초의 일부였다가 진에 정복된 후 구강군에 편입되었다. 기원전 204년 회남국에 편입되었으나, 2년 후 예장군이 분리되면서 남성과 임유 등의 지명이 처음 등장했다.
257년 (오 태평 2년), 임유현과 남성현 등이 임천군에 편입되었고, 이후 10개의 현으로 나뉘었다. 522년에는 파산군이 임천군에서 분리되어 7개 현을 관할했다. 557년 임천군과 파산군은 고(高)나라에 속했다가 589년 (수 개황 9년)에 부주(撫州)로 대체되었다. 오대 십국 시대에는 소무군으로 불렸으나, 송나라 성립 후 푸저우와 건창군으로 분할되어 강남서로의 관할이 되었다. 원나라 시대에는 푸저우로·건창로로 개편되었고, 별도로 남풍주가 설치되었다.
1362년 (원 지정 22년), 주원장에 의해 푸저우로는 푸저우부로, 건창로는 건창부로 개명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도 푸저우부와 건창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1913년 (중화민국 2년), 부제가 폐지되고 장시성에 4도 81현이 설치되면서, 구 푸저우부 및 건창부의 각 현은 예장도의 관할이 되었다. 1916년 도제가 폐지되어 각 현은 장시성 직할이 되었다가, 1932년 행정독찰구 제도 시행으로 제5, 7, 8, 11구의 관할이 되었다. 1935년 행정 구역 변경 후에는 광창현을 제외한 제8구의 관할이 되었다.
1930년 이후, 중국 공산당은 여천, 자계, 광창, 남풍, 의황, 낙안의 각 현에 소비에트 정부를 수립, 민감성 및 장시성의 관할이 되었고, 1932년 7월에는 동향 박간 일대에 소비에트 정권을 수립하여 간동북성의 관할로 하고, 제2차 국공 합작까지 독자 정권을 수립했다.
국공 내전 결과, 1949년 5월 9일 공산당은 푸저우의 실효 지배권을 확립하고, 7월 1일에 푸저우 분구를 설치했다. 이후 푸저우 구, 푸저우 전구, 푸저우 지구 등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0년 6월 23일, 지급시로의 개편에 따라 '''푸저우 시'''가 설치되었고, 10월 20일에 푸저우 시 인민정부가 성립되었다.
연도별 푸저우 지역의 행정구역 변천은 다음과 같다.
연도 | 행정 구역명 | 비고 |
---|---|---|
1949년 10월 1일 | 장시성 푸저우 전구 성립 | 린촨현, 난청현, 난펑현, 리촨현, 충런현, 이황현, 러안현 발족, 간둥베이 행정구 구이시 전구(쯔시현, 진시현) 편입 |
1952년 10월 8일 | 난청 전구로 개칭 | 닝두 전구(광창현, 스청현, 닝두현) 편입 |
1952년 12월 6일 | 푸저우 전구로 개칭 | 스청현, 닝두현 간저우 전구로 편입 |
1954년 | 광창현 간난 행정구로 편입, 린촨현 일부 푸저우시 발족 | |
1958년 | 난창 전구 진셴현 편입 | |
1960년 | 궁시진 발족 | 러안현 일부 분리, 진셴현 이춘 전구로 편입 |
1963년 | 궁시진 러안현 편입 | |
1964년 | 푸저우시 린촨현 편입 | |
1968년 | 상라오 전구 둥샹현, 이춘 전구 진셴현 편입 | |
1969년 | 푸저우시 발족 | 린촨현 일부 분리 |
1970년 | 푸저우 지구로 개칭 | |
1983년 | 진셴현 난창시 편입, 간저우 지구 광창현 편입 | |
1987년 | 린촨시 발족 | 린촨현, 푸저우시 합병 |
2000년 6월 23일 | 푸저우시로 승격 | 푸저우 지구 지급시 승격, 린촨시 린촨구로 변경 |
2016년 | 둥샹구 발족 | 둥샹현 구제 시행 |
2. 1. 고대
전국 시대 당시 이 지역은 초의 일부였다. 진에 정복된 후에는 구강군에 편입되었다.[1]기원전 204년, 이 지역은 회남국에 편입되었다. 2년 후, 예장군이 회남에서 분리되었다. 예장의 일부였던 남성과 임유의 명칭은 이 시기에 처음 등장했다.[1]
257년, 임유현과 남성현은 새로운 군인 임천군에 편입되었다. 그 후 임유, 남성, 서평, 신건, 서성, 의황, 안포, 남풍, 영성, 동흥을 포함한 10개의 현으로 나뉘었으며, 행정 중심지는 임유현에 있었다. 522년, 또 다른 새로운 군인 파산군이 임천에서 분리되어 신건, 서녕, 파산, 대풍, 신안, 흥평, 풍성을 포함한 7개의 현을 관할했다. 임천군과 파산군은 557년에 고(高)나라에 속했다. 두 군은 589년에 부주(푸저우)로 대체되었다.[1]
남북조 시대 양은 임천군의 일부에 '''파산군'''을 설치했다. 589년 (開皇|개황중국어 9년), 임천군 및 파산군에 새롭게 '''무주'''를 설치하여 홍주 총관부의 관할로 하고, 무주의 첫 등장이 되었다.[1]
2. 2. 당나라와 그 이후
당나라 때 푸저우는 강남서로에 속했으며, 상급주로 임천군이라는 군명이 붙었고 군사(軍事)가 파견되었다. 송나라 초기에는 소무군으로 불렸으나, 이후 푸저우와 건창군으로 분할되어 강남서로의 관할이 되었다. 1130년에는 강남동로에 속했다가 1134년에 다시 강남서로로 이관되었다. 숭녕 연간에는 161,480호, 373,652명이 살았으며, 몽골 제국에 점령되기 전까지 10개의 현을 통치했다. 칡을 공납으로 바쳤다.[7]975년 군저우로 개명되었다가 1149년 낙안현이 설치되면서 임천현, 숭인현, 이황현, 진시현, 낙안현을 관할하게 되었다. 이 지역은 송나라의 영향력 있는 학자이자 역사가인 증공과 명나라의 위대한 극작가 탕현조의 고향이기도 하다.
원나라 시대에는 각각 푸저우로와 건창로로 개편되었고, 남풍주가 별도로 설치되었다. 1362년 주원장에 의해 푸저우로는 푸저우부로, 건창로는 건창부로 개명되었다. 명나라와 청나라 시대에도 푸저우부와 건창부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3. 지리
장시성 중동부에 위치하며, 잉탄시, 상라오시, 난창시, 이춘시, 지안시, 간저우시, 푸젠성과 접한다. 시역을 푸허강이 관통한다.
4. 행정 구역
푸저우시는 2개의 시할구와 9개의 현을 관할한다.
이름 | 간체자 | 한어병음 | 인구(2010년) | 면적 | 인구밀도(/km²) |
---|---|---|---|---|---|
린촨구 | Línchuān Qū | 1,057,535 | 2121km2 | 499 | |
둥샹구 | Dōngxiāng Qū | 428,758 | 1262km2 | 340 | |
난청현 | Nánchéng Xiàn | 297,709 | 1698km2 | 175 | |
리촨현 | Líchuān Xiàn | 237,842 | 1728km2 | 138 | |
난펑현 | Nánfēng Xiàn | 278,599 | 1909km2 | 146 | |
충런현 | Chóngrén Xiàn | 342,366 | 1520km2 | 225 | |
러안현 | Lè'ān Xiàn | 358,970 | 2413km2 | 149 | |
이황현 | Yíhuáng Xiàn | 204,759 | 1944km2 | 105 | |
진시현 | Jīnxī Xiàn | 266,504 | 1358km2 | 196 | |
쯔시현 | Zīxī Xiàn | 111,799 | 1251km2 | 89 | |
광창현 | Guǎngchāng Xiàn | 232,988 | 1612km2 | 144 |
린촨구는 시 정부, 중국 공산당, 공안국 및 중급 인민 법원의 소재지이다.
4. 1. 시할구
푸저우시는 2개의 시할구와 9개의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 현 |
---|---|
4. 2. 현
푸저우시는 2개의 시할구와 9개의 현을 관할한다.
시할구 | 현 |
---|---|
5. 경제
이 지역의 주요 산업은 식품, 섬유, 식품 가공, 경차, 발광형 자동차 생산이다.
6. 기후
푸저우시의 기후는 아열대 기후에 속하며, 사계절이 뚜렷하다. 연평균 기온은 17.8°C이고, 연평균 강수량은 1,669mm이다. 1월 평균 기온은 5.6°C로 가장 춥고, 7월 평균 기온은 29.6°C로 가장 덥다.[8]
다음은 둥샹 구(1981~2010년 평년값)와 린촨 구(1991~2020년 평년값)의 기후 데이터이다.[8][2][3]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
둥샹 구 (1981~2010년) | ||||||||||||
평균 최고 기온 (0°C) | 9.6°C | 12°C | 16.1°C | 22.5°C | 27.4°C | 30.1°C | 34.1°C | 33.4°C | 29.5°C | 24.4°C | 18.5°C | 12.7°C |
평균 기온 (0°C) | 5.6°C | 8°C | 11.8°C | 18°C | 22.9°C | 26°C | 29.6°C | 28.8°C | 25°C | 19.5°C | 13.5°C | 7.6°C |
평균 최저 기온 (0°C) | 2.7°C | 5°C | 8.6°C | 14.5°C | 19.3°C | 22.7°C | 25.8°C | 25.3°C | 21.6°C | 15.9°C | 9.8°C | 4°C |
평균 강수량 (mm) | 87.9mm | 119.1mm | 204.6mm | 249mm | 238.4mm | 333mm | 154.9mm | 133.9mm | 79.3mm | 55.1mm | 80.1mm | 55.9mm |
평균 상대 습도 (%) | 82 | 81 | 82 | 81 | 79 | 81 | 73 | 77 | 79 | 77 | 78 | 77 |
린촨 구 (1991~2020년) | ||||||||||||
평균 최고 기온 (0°C) | 9.8°C | 13.1°C | 17.8°C | 23.7°C | 28.3°C | 30.7°C | 34.7°C | 34.5°C | 30.1°C | 25.1°C | 18.7°C | 12.4°C |
평균 기온 (0°C) | 6.2°C | 8.8°C | 13.3°C | 18.9°C | 23.8°C | 26.6°C | 30°C | 29.7°C | 25.7°C | 20.6°C | 14.3°C | 8.1°C |
평균 최저 기온 (0°C) | 3.7°C | 5.9°C | 10.2°C | 15.4°C | 20.4°C | 23.7°C | 26.5°C | 26.2°C | 22.5°C | 17.3°C | 11.1°C | 5.1°C |
평균 강수량 (mm) | 74.2mm | 103.4mm | 216.5mm | 210.9mm | 281.6mm | 332.8mm | 202.2mm | 116.5mm | 74.1mm | 45.4mm | 110.5mm | 73.7mm |
평균 강수일수 (≥ 0.1mm) | 13.4 | 13.3 | 18.3 | 15.9 | 16.1 | 17.1 | 10.5 | 10.2 | 8.6 | 7.3 | 11.5 | 9.9 |
평균 상대 습도 (%) | 78 | 78 | 78 | 75 | 75 | 79 | 70 | 71 | 75 | 73 | 77 | 75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72.0 | 76.8 | 90.7 | 119.7 | 136.2 | 119.6 | 225.4 | 220.6 | 156.1 | 146.4 | 117.3 | 111.8 |
평균 일조율 (%) | 22 | 24 | 24 | 31 | 32 | 29 | 53 | 55 | 43 | 41 | 37 | 35 |
평균 적설일수 | 2.4 | 1.3 | 0.1 | 0 | 0 | 0 | 0 | 0 | 0 | 0 | 0.1 | 0.7 |
7. 교통
난창-푸저우 고속철도는 린촨 구를 중심으로 운행하며, 난청 현과 난펑 현에서도 운행된다. 잉탄-샤먼 철도는 즈시 현에서만 운행되며, 항저우-창사 고속철도는 둥샹 구의 푸저우 동역을 지난다.
7. 1. 철도
- 난창-푸저우 고속철도(린촨 구 주요 운행; 난청 현, 난펑 현 추가 운행)
- 잉탄-샤먼 철도(즈시 현에서만 운행)
- 항저우-창사 고속철도: 푸저우 동역(둥샹 구)
- - 중국철로총공사 노선:
- * 후쿤 여객 전용선
- * 창푸 선
- * 후쿤 선
- * 잉샤 선
7. 2. 도로
- 고속도로
- * --지난광저우 고속도로
- * --후쿤 고속도로
- * --푸인 고속도로
- * --푸옌 고속도로
- * --난샤오 고속도로
- * S42 둥창 고속도로
- * S46 푸지 고속도로
- 국도
- * G206 국도
- * G316 국도
- * G320 국도
8. 출신 인물
참조
[1]
서적
《江西统计年鉴-2016》
http://www.jxstj.gov[...]
中国统计出版社
2016-08
[2]
웹사이트
http://data.cma.cn/d[...]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3
[3]
웹사이트
https://experience.a[...]
Chin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3-09-23
[4]
뉴스
2 dead after bomb blasts in eastern Chinese city
http://edition.cnn.c[...]
2011-05-26
[5]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中华人民共和国民政部
[6]
웹사이트
江西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7]
문서
《송사》 권88 지리지 4 강남서로 무주
https://zh.wikisourc[...]
[8]
웹인용
http://data.cma.cn/d[...]
중국기상국
2020-04-1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